네트워크/HTTP(3)
-
웹 캐시
웹 캐시 캐시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은 저장소를 말한다. 값을 미리 복사해놓기 때문에 원본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과 재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일상적인 예시로 냉장고에 사과가 있으면 언제든지 먹고 싶을 때마다 사과를 꺼내먹을 수 있다. 하지만 냉장고에 사과가 없다면 사과를 직접 사서 먹어야한다. [그림 1]은 냉장고에 사과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없는지에 따른 시간적 차이를 나타낸다. 사과를 직접 먹을 때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적히지 않았지만, 우리는 냉장고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과를 직접 꺼내서 먹는 시간이, 슈퍼에서 사과를 사와서 먹는 시간보다 더 빠르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위 예시는 캐시의 존재가 데이터, 자원 접근 측면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
2020.11.21 -
영속적 연결과 비 영속적 연결
웹 페이지 문서에 있는 하이퍼 텍스트 개념은 여러 번의 요청과 응답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웹 페이지들이 서로 다른 서버에 있는 경우도 있고, 같은 서버에 있는 경우도 있다. 다른 서버에 있는 웹 페이지들을 가져올 경우에는 새로운 TCP 연결을 생성하는 것 말고는 답이 없다. 하지만 웹 페이지들이 같은 서버에 있는 경우는 다르다. 페이지들을 일일히 가져올 때마다 TCP 연결을 생성해야 하는 방법이 있고, 하나의 TCP 연결로 모든 웹 페이지들을 가져오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을 비 영속적 연결이라하고, 후자의 방법을 영속적 연결이라고 한다. 1. 비 영속적 연결 비 영속적 연결은 HTML 1.1 이전 버전에서 사용하던 연결 방식으로 각 요구/응답에 대해 새로 TCP 연결이 만들어지고, 응답 후..
2020.10.31 -
하이퍼 텍스트 프로토콜(HTTP)이란?
1. HTTP 우리 부모님은 식당을 운영하신다. 그리고 가끔 바쁜 날이면, 내가 서빙일을 도와주기도 한다. 식당의 비지니스는 손님이 와서 메뉴를 시키면, 식당은 요청받은 메뉴를 손님에게 제공하는 형태로 돌아간다. 그런데, 식당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무언가를 요청하고 받는 메커니즘에 굉장히 익숙하다. 웹도 마찬가지다. 웹 클라이언트(손님)는 웹 서버(식당 주인)에게 웹 컨텐츠(메뉴)를 주문하면, 웹 서버(식당 주인)는 웹 클라이언트(손님)에게 요청받은 컨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웹 컨텐츠는 웹 페이지, HTML, css, js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비지니스 방식을 통신에서는 프로토콜(Protocal)이라고 하며, 웹에서는 주로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 Text Transfer Protocal..
2020.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