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카(3)
-
[Node.js] TDD를 이용하여 API 서버를 개발해보자.
들어가며 다음과 같은 경험과 배경지식이 있다면, 이번 포스팅 글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습니다. ES6 문법, ExpressJS를 써본 경험 모카(MochaJs), 슈드(ShouldJs), 슈퍼 테스트(SupertestJs)를 써본 경험 TDD의 정의와 목적 Babel 컴파일러 설치 및 사용 경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란 무엇일까? API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이상 위키피디아에서 나온 정의였다. 우리는 위키피디아 정의에서 인터페이스의 정의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네이버 영영사전에서 기록된 인터페이스(Interface)의 뜻은 접속기다...
2020.11.04 -
[Node.js] Should.js 란
1. Should.js 란 지난 번에 Mocha.js에 대해서 포스팅한 적이 있다. 모카(Mocha.js)는 테스트 주도 개발을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다. 하지만 모카(Mocha.js)를 쓰기 위해서는 node_modules 폴더 안에 있는 assert 모듈을 불러와야한다. Should.js 프레임워크도 모카(Mocha.js)와 다른 것이 없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여러가지 Assertion 함수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즉, assert 모듈을 불러오지 않아도 된다. Should.js를 쓰기위해서는 먼저 프레임워크를 설치해야한다. npm install should --save--dev yarn add should --dev 바벨 컴파일러, package.json에서의 scripts 속..
2020.10.31 -
[Node.js] 모카(Mocha)
1. 테스트 주도 개발(TDD) 테스트 주도 개발은 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 TDD라고 표기한다. 테스트 주도 개발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서, 코드를 하나씩 통과시켜서 만드는 개발방법을 말한다. [그림 1]은 프로그래머스라는 사이트에서 알고리즘 문제를 풀고나서 체점한 결과를 나타낸다. 체점 시, 통과 또는 실패라는 결과가 뜨는 이유는 여러 테스트 케이스와 결과 값을 준비했기 때문이다. 테스트케이스를 입력으로 넣고, 출력 값이 예상된 결과 값과 같을 경우는 통과 다를 경우는 실패로 간주한다. 이처럼 테스트 주도 개발은 함수가 개발자의 의도대로 잘 작동하는지, 버그는 있는지를 체크하거나, Api 서버를 만들 때와 같이 여러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용도는 다양하게 쓸 수 있어도 ..
2020.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