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유린 개발 블로그

천유린 개발 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94)
    • Javascript (68)
      • 응용 (8)
      • 자료구조 (23)
      • 문법 (7)
      • 알고리즘 (20)
      • 33가지 개념 (7)
      • 시행착오 (3)
    • NodeJS (5)
      • TDD (5)
    • 운영체제 (10)
      • Overview (5)
      • 프로세스 (5)
    • 네트워크 (6)
      • 웹 (3)
      • HTTP (3)
    • 리액트 (0)
      • Amplify (0)
    • 리액트 네이티브 (1)
      • Expo (1)
    • 깃 (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천유린 개발 블로그

컨텐츠 검색

태그

알고리즘 Node.js 슈퍼테스트 프로그래머스 운영체제 자바스크립트 overview 비동기처리 should js 33가지 콜백지옥 Nodejs 만들기 그래프 33가지 개념 TDD 정의 모카 자료구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알고리즘(7)

  • [JS] 순열

    1. 순열 순열은 서로 다른 n개의 원소에서 r개를 뽑아서 한 줄로 세우는 경우의 수를 말한다. 여기서 r,n은 자연수이며 r은 n이하여야만 한다. 또한 순열은 정의역과 공역이 같은 일대일 대응이다. 여기서 일대일 대응은 두 집합 사이를 중복 없이 모두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함수를 말한다. 순열은 경우의 수이고 일대일대응이다. 왜 그런지 예를 한번 들어보자. 앞에서 경우의 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경우의 수는 1회의 시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의 수를 말한다. 아래 그림은 네 개의 문자를 가지고 있는 배열이 있는데, 네 개 중에 두 개의 문자를 임의로 골라 중복없이 조합하여 길이가 2인 단어를 생성하려고 하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위의 예시를 보면, 두 개의 독립사건이 있는데, 첫 ..

    2020.06.04
이전
1 2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